Language/JavaScript(31)
-
Day11 : onClick
onClick 태그에 속해있는 속성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안쪽 코드가 실행된다. 버튼을 누르면 console.log가 실행된다. 지난 게시물에서 만든 output 함수와 연결해보자. 함수 실행시키기 → 함수명() 버튼을 누를 때마다 output 함수가 실행된다
2023.11.18 -
Day10 : 함수, 함수 호출
consoleTool이라는 함수를 선언해보자. 함수를 사용하라면 '호출'이 필요하다. → 함수명() vscode에서도 태그에 함수를 추가해주면 사용할 수 있다.
2023.11.18 -
Day7,8 : 객체(Object)와 객체 메서드
객체(Object) 데이터를 배열과 같이 묶음으로 관리하지만 순서가 아니라 하나의 데이터의 각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를 관리해주는데이터 타입 여러 개의 property를 갖는 데이터 타입 각 property들은 key와 value로 이루어진다(콜론:으로 구분) 객체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 1. Dot notation 객체명.접근하고 싶은 프로퍼티의 키 → 해당 키에 해당하는 value를 얻을 수 있다 객체의 property 중 아직 존재하지 않는 키를 추가할 수도 있다. (객체명.추가하고 싶은 속성의 키 = 할당할 value) 2. Bracket notation 데이터에 접근할 객체["접근하고 싶은 property의 키"] → 키와 쌍을 이루는 value를 얻을 수 있다. ※만약 [] 안에 ""를 사용하지..
2023.11.12 -
Day5 : 데이터타입(Array)
▶Array(배열) 순서가 존재하는 데이터 컬렉션을 관리할 때 사용 데이터 컬렉션이 논리적으로 정의된 규칙에 의해 나열된 것 요소(Element) : 배열에 속해 있는 각각의 데이터 인덱스(Index) : 해당 요소의 위치값을 의미하는 숫자, 항상 0부터 시작 인덱스를 통해 각 요소에 접근 가능 → 배열이 가지고 있는 속성(Property)와 배열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담긴 명령(Method) Property : 데이터타입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속성들 ex) Array.length Method :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명령어 ex) 배열의 method push() : 배열의 가장 뒤에 요소 추가 pop() : 배열의 가장 뒷요소 제거 → 소괄호 안에 데이터 입력x indexOf() : 특정 배..
2023.11.11 -
Day4 : 데이터타입(String, Number)과 NaN
데이터타입 String 표현하고 싶은 문자를 큰따옴표, 작은따옴표 안에 입력한다. box : 변수 "box" : 변수가 아닌 텍스트데이터 숫자, 알파벳, 공백, 특수문자 등 모든 것들이 텍스트 데이터화 된다. 문자열은 더하기 연산(다른 연산x)이 가능하다 → 두 개의 문자열이 + 연산자(문자열 연결 연산자)를 만나면 입력된 순서에 맞춰서 합쳐진 결과가 나오게 된다. Number 100 : 숫자 "100" : 문자 문자열과 달리 모든 연산이 가능하다 문자열과 숫자를 더하게 되면 숫자가 문자열로 반환되어 연산된다. NaN(난) : Not A Number 연산을 시도했을 때 몇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연산을 시도했을 때 받을 수 있는 '값' 문자열을 포함한 연산에서 더하기가 아닌 다른 연산을 시도했을 경우 그...
2023.11.11 -
Day2, 3 : 변수 선언 키워드, 변수명 규칙
변수는 변수 선언 키워드라는 것을 사용해서 선언해 줄 수 있다. var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재할당, 재선언이 가능하다 → 협업 과정 중 위에서 사용하던 변수들을 밑에서 실수로 바꿔버릴 수도 있기 때문 let 재할당이 가능하다 재선언이 불가능하다 const 상수변수 (상수 : 변하지 않는 값) 재할당, 재선언이 불가능하다 선언과 할당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. 반드시 유지시켜야하는 값, 다른 데이터로 변환되어서는 안 되는 값들을 담는다. 가장 엄격한 키워드인만큼 오류를 미연에 방지한다. 가 할 수 있는 두 가지 동작 1. 재할당 → 이미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는 변수에 다시 할당 2. 재선언 → 이미 선언되어있는 변수명으로 다시 선언 ※ 변수명 주의사항 ※ ▷ 변수명은 동사가 아닌 명사로! ▷ 첫 글자는 ..
2023.11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