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보자고

가보자고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29)
    • Spring 강의 (24)
      • section1 (4)
      • section2 (2)
      • section3 (5)
      • section4 (2)
      • section5 (3)
      • section6 (6)
      • section7 (2)
    • DB (6)
    • Error (6)
      • SQL (3)
      • Java (1)
      • VS (1)
    • Language (38)
      • Java (7)
      • JavaScript (31)
    • Programmers (49)
      • SQL (34)
      • Java (14)
      • JavaScript (1)
    • Tripbnb (0)
      • login (0)
      • framework (0)
    • Spring (3)
    • IT 지식 (1)
    • React (0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가보자고

컨텐츠 검색

태그

프로그래머스 #sql #mysql #oracle 프로그래머스 #자바 자바스크립트 js 함수선언 프로그래머스 #JAVA 인프런 #스프링 #김영한 mysql React 함수 자바 프로그래머스 인프런 SQL javascript 인프런 #스프링 #김영한 #AOP IF문 리액트 프로그래머스 #오라클 oracle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Object.values()(1)

  • Day7,8 : 객체(Object)와 객체 메서드

    객체(Object) 데이터를 배열과 같이 묶음으로 관리하지만 순서가 아니라 하나의 데이터의 각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를 관리해주는데이터 타입 여러 개의 property를 갖는 데이터 타입 각 property들은 key와 value로 이루어진다(콜론:으로 구분) 객체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 1. Dot notation 객체명.접근하고 싶은 프로퍼티의 키 → 해당 키에 해당하는 value를 얻을 수 있다 객체의 property 중 아직 존재하지 않는 키를 추가할 수도 있다. (객체명.추가하고 싶은 속성의 키 = 할당할 value) 2. Bracket notation 데이터에 접근할 객체["접근하고 싶은 property의 키"] → 키와 쌍을 이루는 value를 얻을 수 있다. ※만약 [] 안에 ""를 사용하지..

    2023.11.12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